2025. 8. 25. 08:00ㆍ정보 아카이브
서울 도심의 대표적 구조물이었던 ‘서소문 고가차도’가 2025년 7월부터 본격 철거에 들어갔습니다. 서울시는 이 구간을 단순한 차량 도로가 아닌 시민 중심의 보행 특화공간으로 재구성할 예정인데요. 하지만 도심에서 매일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에게는 이 변화가 ‘불편함’으로 먼저 다가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공식자료를 바탕으로, 서소문 고가 철거가 출퇴근길에 미친 영향과 교통체계 변화, 대중교통 중심의 대안까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서소문 고가 철거 배경
서소문 고가차도는 1970년 준공되어 50년 넘게 서울역-남대문 구간을 연결해 온 도심 주요 도로였습니다. 하지만 노후화, 지반침하, 도로 기울어짐 등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고, 결국 2025년 8월 17일부터 철거 공사에 돌입하게 되었습니다.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대상은 서울역, 숭례문, 시청 인근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입니다. 철거에 따라 서소문 고가를 경유하던 13개 노선버스와 일반 차량 흐름이 변경되었고, 일부 구간은 정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역 → 시청 | 약 8분 | 약 15분 | 오전 7:30~9:00 |
숭례문 → 종로 | 약 10분 | 약 18분 | 오후 17:00~18:30 |
고가도로 이용버스 | 13개 노선 | 전면 우회 | 종로·만리재로 구간 혼잡 |
서울시 교통체계 개편과 도시 공간 재편
서울시는 이번 철거를 단순한 구조물 해체가 아닌 도시 공간 구조의 전환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서소문 고가 철거 구간에는 보행 광장, 녹지, 역사문화 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며, 특히 숭례문~서울역~회현 간 도심 보행축이 연결되는 ‘도심 녹색 보행 네트워크’ 구축이 핵심입니다.
고가 철거 착공 | 2025년 7월 4일 | 차량 통제 시작, 일부 보행통로 유지 |
본격 철거 개시 | 2025년 8월 17일 | 가설구조물 철거, 고가 해체 본격화 |
공사 완료 및 개방 | 2026년 8월 예정 | 보행자 광장 전면 개방, 도보 접근성 개선 |
대중교통 중심의 이동 대안(출퇴근길 조정)
고가 철거에 따라 교통 혼잡이 예상됩니다. 특히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은 아래 정보를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버스 노선 조정
고가를 경유하던 버스 13개 노선은 2025년 8월 17일부터 우회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서울시는 안전한 철거 및 공공공간 조성을 위해 서울역 ↔ 남대문 구간의 고가도로 통행을 전면 차단하고, 아래와 같이 우회 노선을 운영 중입니다.
📌 주요 변경 포인트 정리:
- 염천교 사거리, 만리재로, 회현역, 충정로 방면으로 대체 경로 유도
- 일부 노선은 정류장 변경, 도보 이동 거리 증가 가능성
- 서울시 교통정보센터 앱(TOPIS)나 카카오·네이버 지도를 통한 실시간 확인 권장
103 | 서울역 → 남대문 → 시청 | 중앙일보 앞 우회 → 숭례문 방면 진입 |
105 | 서울역 고가 경유 → 남대문 | 충정로·세종대로 경유 우회 |
143 | 서울역 → 숭례문 | 염천교 사거리 → 중림동 → 회현 방면 우회 |
150 | 고가 경유 | 중림로, 후암로 우회 |
401 | 서울역 고가 경유 → 서울광장 | 만리재로 → 회현역 → 시청 방향 우회 |
402 | 서울역 → 남대문 | 충정로역 방향 우회 |
406 | 숭례문 → 서울역 방면 | 남대문시장 사거리 방면 우회 |
501 | 고가도로 직통 | 청파로 우회, 후암동 방향 재조정 |
502 | 고가 통과 | 서울역 서부역 앞 → 만리재로 경유 |
504 | 고가 경유 | 공덕역 방향으로 우회 운행 |
602 | 남대문시장 방향 진입 | 염천교 사거리, 중림동 경유 회현역 방면 |
7011 | 남대문 고가 통과 | 세종대로, 회현 방면으로 우회 |
7016 | 서울역-시청 간 고가 경유 | 중앙일보 앞 → 염천교 → 후암로로 변경 |
2. 지하철 연계 강화
서울역, 회현역, 시청역을 중심으로 한 환승 체계 개선도 병행 중입니다. 특히 서울역은 1호선, 4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이 교차하는 핵심 노선으로, 출근 시간대 운행 간격을 2~3분 단위로 단축하고 있습니다.
3. 모바일 정보 시스템 확대
스마트 정류장과 실시간 버스/지하철 정보 제공 앱이 확대되고 있으며, 시민들은 공사 기간 중 교통 상황을 실시간 확인하여, 자신에게 최적화된 출퇴근 경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궁극적으로 차량 중심 교통에서 보행자 및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로의 전환을 통해 더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 공간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직장인 분들도 이에 맞는 출퇴근 이동 전략이 필요하겠습니다.
'정보 아카이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추석 기차표 예매 일정 방법 성공팁 (0) | 2025.08.29 |
---|---|
근로장려금 대상 신청 방법 (0) | 2025.08.28 |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신청방법, 실제 환급사례 (0) | 2025.08.27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신청방법 유효기간 안내 (0) | 2025.08.26 |
2025년 상생페이백 가이드(신청방법, 조건, 혜택) (0) | 2025.08.24 |